본문 바로가기

IT일반과목/DataBase

데이터베이스 (집공부1)

관계대수 연산자

 연산자 종류

대상

연산자 이름 

기호 

설명 

기본

단항

셀렉션

σ

릴레이션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투플을 선택

기본

단항

프로젝션

π

릴레이션의 속성을 선택

추가

단항

개명

ρ

릴레이션이나 속성의 이름을 변경 

 유도

이항

디비전

÷

부모 릴레이션에 포함된 투플의 값을 모두 갖고 있는 투플을 분자 릴레이션에서 추출

기본

이항

합집합

두 릴레이션의 합집합

기본

이항

차집합

-

두 릴레이션의 차집합

유도

이항

교집합


두 릴레이션의 교집합

기본

이항

카디전 프로덕트

두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투플의 집합

 유도

이항 

조인

세타

 

두 릴레이션 간의 비교 조건에 만족하는 집합

동등

 

두 릴레이션 간의 같은 값을 가진 집합

자연

 

동등 조인에서 중복 속성을 제거

세미

left

 

자연 조인 후 오른쪽 속성을 제거

right

 

자연 조인 후 왼쪽 속성을 제거

외부 

left

 

  • 자연 조인 후 각각 왼쪽(left), 오른쪽(right), 양쪽(full)의 모든 값을 결과로 추출

  • 조인이 실패(또는 값이 없을 경우)한 쪽의 값을 NULL로 채움

right

 

full

 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오라클을 설치하면 제고오디는 사용자인 SCOTT은 학습을 위해서 테이블들이 제공됩니다. SCOTT이 소유하고 있는 테이블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명령을 입력해보자.

ex) select * from TAB;


 -> TAB은 TABLE의 약자로서 SCOTT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테이블의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딕셔너리 이다.

-> 아래는 학원꺼 자료에서 입력해본 결과이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테이블 구조를 살펴보기 위한 DESC

ex) DESC[RIBE} 테이블명


 -> DESC 명령어는 테이블의 컬럼 이름, 데이터 형, 길이와 NULL 허용 유무 등과 같은 특정 테이블의 정보를 알려준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DATE

 - DATE는 세기, 년, 월, 일, 시간, 분, 초의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형입니다.

 - 이렇듯 날짜 타입 안에는 세기, 년, 월, 일, 시, 분, 초, 요일 등 여러가지 정보가 들어 있지만 별다른 설정이 없으면 년, 월, 일 만 출력합니다.

 - 기본 날짜 형식은 "YY/MM/DD" 형식으로 "년/월/일"로 출력됩니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CHAR

 -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

 - 고정 길이 문자 데이터를 저장한다.

 - CHAR는 주어진 크기만큼 저장공간이 할당되므로 편차가 심한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위의 예와 같이 저장공간의 낭비를 초래합니다.
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VARCHAR2

 - VARCHAR2 데이터 형은 가변적인 길이의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해서 제공한다.

 - VARCHAR2는 저장되는 데이터에 의해서 저장공간이 할당되므로 메모리 낭비를 줄일 수 있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SELECT 문은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SQL 명령어입니다.

형식 : SELECT [DISTINCT] {*,column[Alias], ...} FROM table_name;


 -> SQL 명령어는 하나의 문장으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여러개의 절이 모여서 문장이 되는 것이고 이러한 문장들은 반드시 세미콜론(;)으로 마쳐야 한다.

 -> SELECT 문은 반드시 SELECT와 FROM 이라는 2개의 키워드로 구성되어야 한다.

 -> SELECT 절은 출력하고자 하는 칼럼 이름을 기술한다.

 -> 특정 컬럼 이름 대신 * 를 기술할 수 있는데, *는 테이블 내의 모든 컬럼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한다.

 -> FROM절 다음에는 조회하고자 하는 테이블 이름을 기술한다.

 -> SQL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들은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